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주도한 베이비붐 세대들이 고령화되면서 나오는 문제가 바로 노후 준비 부족 문제입니다. 주도적으로 경제 활동을 하는 시대에는 경제 성장과 가족을 위하여 희생을 하는 경우가 많아 노후 준비를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런 준비 없이 집만 가지고 있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주택연금 수령액을 통한 노후생활도 가능합니다.
아직까지 생소한 영역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하여 예상 가능한 지급금액과 간단한 용어에 대하여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업무를 주관하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지급 가능한 예상금액을 조회를 통하여 계산 할 수가 있습니다.
정책과 관련 된 자세한 정보를 확인을 원한다면 상품소개부터 용어설명등에 대한 메뉴를 이용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신청을 위해서는 일정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일부 유형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만 60세이상부터 9억이하의 주택가격인 경우 가능합니다. 각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급방시 중에 확정기간 방식을 제외하고는 만 60세 이상이면 신청이 가능하지만 확정기간방식의 경우에는 부부 중에서 나이가 적은 사람의 연령이 만 55세부터 74세 사이인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계산 진행은 확정기간방식으로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 100세 이상의 아파트 이거나 연립주택 중 대단위 주택이라면 시세를 직접 검색이 가능합니다. 한국감정원시세가 우선 적용이 되고 조회를 할 수 없는 경우 kb시세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조회 후에는 입력한 값을 기준으로 한 달 지급되는 예상금액과 중간에 인출이 가능한 최대 금액에 대하여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계산기 이용 시에 용어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이 있다면 계산기 아래 나와 있는 도움말에서 지급방식부터 주택에 대한 구분등에 대한 안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노후생활을 위한 한 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선택한 조건에 따라 주택연금 수령액의 계산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지급방식을 전부 계산해보고 비교해보는 것도 선택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